티스토리 뷰
1. 임진왜란 전
- 명(사대관계), 여진/일본/유구(교린관계:이웃과교류하다)
1)명: 조선 전에 최영의 요동정벌주장으로 인해 긴장관계 였지만 태종에 들어와서 사대관계를 맺음.
2)여진
(1)강경책: 4군6진 설치(세종때)=>사민(백성을이사시킴), 토관(원래 자기가 산 지역에서는 관리를 못하게 되어있는데 여진과 밀접한 곳 지역은 제외: 여기 우리백성들 사니까 우리땅이야를 간접적으로 주장)
(2)회유책: 북평관, 무역소 설치
3)일본
(1)강경책: 쓰시마 섬 정벌
(2)회유책: 삼포개항(부산포, 제포, 염포)
4) 3포왜란(일본이 삼포말고 더 개항해줘 떼쓴 사건) 이 발생하면서 비변사라는 기구가 임시로 생김
5) 을묘왜변이 또 발생해서 비변사가 상설기구가 됨.
2. 임진왜란 발생(1592)
1)임진왜란 당시: 한산도대첩(이순신), 진주대첩(김시민), 평양성 전투(명이 와서 도와줌), 행주대첩(권율)
2)정유재란: 일본과 협상하며 잠깐 휴전하던 때가 있었으나 협상이 결렬되 다시 일본이 침입하던 사건
3) 광해군 : 전쟁 직후를 수습하던 왕.
(1) 중립외교(강홍립을 시켜서 명-후금이 싸울때, 명이 임진왜란때 도와줬으니, 도와주긴 하는데 힘들면 항복하고, 후금에게는 왜 군대를 보낼 수 밖에 없었는지 설명해주라고 왕이 명령내림)
(2) 대동법시행
(3)동의보감(허준): 전쟁직후라, 환자가 많아서 만들 수 밖에 없었음.
4) 인조: 광해군을 몰아내고 서인을 등에 업고 왕권에 앉음, 친명배금 정책을 펼침. 이때문에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 발생됨.
(1) 정묘호란: 후금이 형제관계를 요구함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감
(2) 병자호란: 후금이 커서 청이 되어 군신관계를 요구함 ------> 남한산성에서 투항하다가 청의 황제에게 절을 하며 삼전도 굴욕을 겪게 됨..
※대동법이란?
원래 조선에서 세금을 낼 떼는 공납으로 지역의 특산물도 국가에 내야했음. 그러나, 특산물을 구하기 어려우면 대신 특산물을 구해 내주던 방납이 있었는데 이 방납들이 특산물을 대신 구해주는 대신 백성들에게 가격을 뻥튀기 하면서 장사를 해서 방납들의 폐단이 심각해져갔었음.. 이를 개정하기 위해 만든 것이 대동법!
대동법은 특산물을 안내도 되고, 쌀이나 돈으로 내는 제도였음. 가지고 있는 토지를 기준으로 내야되는 쌀양을 갈랐음(현재의 소득수준별로 세금액이 다른거와 비슷). 덕분에 특산물을 어렵게 구해야하는 수고도 덜고, 토지가 아예 없는 사람은 돈을 조금 내거나 아예 안 내도 되는 사람들도 많이 생겨났음...
이때, 국가에서는 받을 특산물이 없어지자 '공인'이란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서 시장에서 특산물을 대량으로 사오라고 시켜 관청에 받치도록 함.
시스템은 이러합니다.
농민이 관청에 쌀이나 돈을 내면 관청이 공인을 고용합니다. 그 공인은 시장에서 특산물을 구매하고 다시 관청에 특산물을 받칩니다. 자연스레 시장에서 상품화폐경제가 발전하게 되겠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