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고려사회의 큰 흐름 먼저 간단하게 볼게요. 고려사회의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무신정변입니다


1. 전기

  :통일신라 말 호족세력과 6두품세력(호족의 브레인이 되어줌)이 초기 권력을 잡음. 

   호족은 문벌귀족이 되고, 6두품은 지방에서 향리로 성장합니다.


2. 후기

  (1) 무신정변(무신들의 반란)이 일어난 후: 문벌귀족은 무너지고 무신들이 권력을 잡게 됨. 이때 향리들은 지방에서 꾸준히 권력 유지중.

  (2) 원 간섭기: 원에 빌붙어 사는 권문세족이 권력을 잡고, 향리들은 신진사대부(성리학기반)으로 성장함.


3. 조선건국(1392)

   신진사대부들이 권력을 잡고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함.






<고려:초기 정치>




1. 태조 왕건 (※호족 연합 정권시절)

  (1)민생안정: 세금감세, 흑창(구휼정책인 진대법에서 발전됨) 실시

  (2)호족 정책ㅡ당근: 결혼, 사성(왕씨 성을 내림), 역분전(호족이라면 개국공신의 의미로 그냥 토지를 줌)

                 ㅡ 채찍: 사심관, 기인

  (3)북진 정책: 고려서경(=평양)을 엄청 중시함.

  (4)훈요 10조: 자식들에게 남기는 말



2. 광종(피의 왕위 쟁탈을 거치고 왕이 된 왕, 호족연합정권을 깨부숨)

   (1)노비안검법: 호족들이 불법적으로 부리던 노비들을 양민으로 다시 만듬. 노비들은 세금을 안 냄.                            결과적으로 왕권강화, 재정확보 (=전민변정도감(고려의 공민왕))

   (2)과거제시행: 역사최초로 시행(내가 원하는 사람을 직접 내 손으로 뽑을 것이다. 호족 필요없어)

   (3)칭제건원: 본인을 황제로 칭함


3.성종

   (1)최승로의 시무 28조: 최승로는 6두품출신으로 유학을 중시하던 인물, 중앙에는 2성6부를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자고 주장. 또한 연등회와 팔관회(불교문화)를 줄이자고 주장.



4. 고려의 중앙행정조직: 2성 6부

  *삼사(회계만 담당, 언론기능x), 대신 대간이 언론기능을 담당.  ≠조선의 삼사는 언론기능을 담당함.

  *재추회의가 존재(문관들만 참여함)

  *도병마사(지방의 국방을 관리하는 병마사들을 지도함)->도평의사사로 나중에 명칭만 바뀜

  *식목도감(식,예절 등을 준비정리함)


5. 고려의 지방행정조직: 12목에서-> 5도 양계로 수정됨

  

  (1)5도(행정): 고려는 전국을 5도로 나누고, 제일 작은 마을 단위가 향.부곡.소 임.

                  5도에 안찰사(임시직)를 파견함, 또한 향리는 지방에서 실질적인 지배세력으로 지방을 다                    스리고 있음. 

          

조선:전국을 8도로 나누고 관찰사(상설직)를 파견함. 부,목,군,현이 존재, 지방의 향리는 권력이 크진 않음

   ≠고려: 전국을 5도로 나누고 안찰사(임시직)을 파견함. 향, 부곡, 소가 존재, 향리는 지방의 지배세력

 


  (2)양계(군사): 북계, 양계로 나뉨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