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고려사회의 큰 흐름 먼저 간단하게 볼게요. 고려사회의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무신정변입니다
1. 전기
:통일신라 말 호족세력과 6두품세력(호족의 브레인이 되어줌)이 초기 권력을 잡음.
호족은 문벌귀족이 되고, 6두품은 지방에서 향리로 성장합니다.
2. 후기
(1) 무신정변(무신들의 반란)이 일어난 후: 문벌귀족은 무너지고 무신들이 권력을 잡게 됨. 이때 향리들은 지방에서 꾸준히 권력 유지중.
(2) 원 간섭기: 원에 빌붙어 사는 권문세족이 권력을 잡고, 향리들은 신진사대부(성리학기반)으로 성장함.
3. 조선건국(1392)
신진사대부들이 권력을 잡고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함.
<고려:초기 정치>
1. 태조 왕건 (※호족 연합 정권시절)
(1)민생안정: 세금감세, 흑창(구휼정책인 진대법에서 발전됨) 실시
(2)호족 정책ㅡ당근: 결혼, 사성(왕씨 성을 내림), 역분전(호족이라면 개국공신의 의미로 그냥 토지를 줌)
ㅡ 채찍: 사심관, 기인
(3)북진 정책: 고려서경(=평양)을 엄청 중시함.
(4)훈요 10조: 자식들에게 남기는 말
2. 광종(피의 왕위 쟁탈을 거치고 왕이 된 왕, 호족연합정권을 깨부숨)
(1)노비안검법: 호족들이 불법적으로 부리던 노비들을 양민으로 다시 만듬. 노비들은 세금을 안 냄. 결과적으로 왕권강화, 재정확보 (=전민변정도감(고려의 공민왕))
(2)과거제시행: 역사최초로 시행(내가 원하는 사람을 직접 내 손으로 뽑을 것이다. 호족 필요없어)
(3)칭제건원: 본인을 황제로 칭함
3.성종
(1)최승로의 시무 28조: 최승로는 6두품출신으로 유학을 중시하던 인물, 중앙에는 2성6부를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자고 주장. 또한 연등회와 팔관회(불교문화)를 줄이자고 주장.
4. 고려의 중앙행정조직: 2성 6부
*삼사(회계만 담당, 언론기능x), 대신 대간이 언론기능을 담당. ≠조선의 삼사는 언론기능을 담당함.
*재추회의가 존재(문관들만 참여함)
*도병마사(지방의 국방을 관리하는 병마사들을 지도함)->도평의사사로 나중에 명칭만 바뀜
*식목도감(식,예절 등을 준비정리함)
5. 고려의 지방행정조직: 12목에서-> 5도 양계로 수정됨
(1)5도(행정): 고려는 전국을 5도로 나누고, 제일 작은 마을 단위가 향.부곡.소 임.
5도에 안찰사(임시직)를 파견함, 또한 향리는 지방에서 실질적인 지배세력으로 지방을 다 스리고 있음.
조선:전국을 8도로 나누고 관찰사(상설직)를 파견함. 부,목,군,현이 존재, 지방의 향리는 권력이 크진 않음
≠고려: 전국을 5도로 나누고 안찰사(임시직)을 파견함. 향, 부곡, 소가 존재, 향리는 지방의 지배세력
(2)양계(군사): 북계, 양계로 나뉨
'한국사능력검정 핵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핵심정리- (6) 고려(외교) (0) | 2018.06.10 |
---|---|
한국사 핵심정리- (5) 고려(중기정치~무신정변)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3) 남북극 시대(통일신라/발해)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2) 고대국가(고구려/백제/신라)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 (1) 선사시대~여러나라의 성장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