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무신정변 전
*초기 고려의 호족은 선종사상을 선호하고 고구려계승의식(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야~)을 가지고 있었음.
*그러나 호족이 문벌귀족이 되며 기득권 세력이 되어가자 나태해지기 시작함.
*나태해진 문벌귀족들은 선종대신 교종을 선호하기 시작하고, 신라계승 의식을 갖춤. 또한 여러가지 특권들도 가족 있었음.
*문벌귀족들이 가지고 있던 특권들
①정치:음서제(5품이상의 자제들은 시험을 보지않고 관직에 오를 수 있다)
②경제:공음전(집안이 빵빵하면 토지도 많이 받음)
③사회:폐쇄통혼(가족끼리 결혼을 함)
*이와 반대로 일반 관료들은 과거제(광종때 시행)에 따라 선발되고, 전시과제도에 따라 일한만큼 토지를 받았다.
=> 문벌귀족에게 취중되는 권력으로 사회모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 이후로, 1) 이자겸의 난과 2)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발생함.
1)이자겸의 난
2)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 묘청이 풍수지리설을 들며 기운이 좋은 서경으로 수도를 옮겨야한다고 주장을 함. 이 당시에 금이 고려를 압박하던 시기였는데 묘청은 고구려 계승을 이어받은 우리는 금을 정벌해야한다고 주장함.
그러나, 김부식·이자겸과 같은 문벌귀족(기득권세력)들은 금과 사대관계를 주장하며 그냥 수도를 옮기지 말자고 함. 결과적으로 수도를 옮기지 않았음.
*신채호는 <조선사연구초>에서 이 사건을 조선역사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으로 규정함.
3) 이렇게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문신들이 무신들의 뺨을 때리고 조롱하는 사건까지 겹쳐서 무신정변이 일어나게 됨.
2. 무신정변 시작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최우 순으로 집권함.
(1)회의기구: 중방
(2)권력기구:교정도감
(3)인사권을 쥐고 있는 곳: 정방
(4)문신들을 등용하던 곳:서방(여기서 향리들이 많이 등용되었음. 이들이 여기서부터 성장하고, 공민왕때 더 많이 발탁되어 신진사대부로 성장하여 조선을 건국하게 됨)
(5)사병집단: 도방, 야별초->삼별초로 성장.
*무신들의 비리와 수취에 반발하여 일어난 난들: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김사미, 효심의 난
*최초의 신분해방 운동: 만적의 난 "왕의 씨가 따로 있으랴!!"
'한국사능력검정 핵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핵심정리- (7) 조선 전기(정치) (1) | 2018.06.10 |
---|---|
한국사 핵심정리- (6) 고려(외교)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4) 고려(초기 정치)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3) 남북극 시대(통일신라/발해)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2) 고대국가(고구려/백제/신라)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