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무신정변 전


*초기 고려의 호족은 선종사상을 선호하고 고구려계승의식(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야~)을 가지고 있었음.

*그러나 호족이 문벌귀족이 되며 기득권 세력이 되어가자 나태해지기 시작함.

*나태해진 문벌귀족들은 선종대신 교종을 선호하기 시작하고, 신라계승 의식을 갖춤. 또한 여러가지 특권들도 가족 있었음.

*문벌귀족들이 가지고 있던 특권들

  ①정치:음서제(5품이상의 자제들은 시험을 보지않고 관직에 오를 수 있다)

  ②경제:공음전(집안이 빵빵하면 토지도 많이 받음)

  ③사회:폐쇄통혼(가족끼리 결혼을 함)


*이와 반대로 일반 관료들은 과거제(광종때 시행)에 따라 선발되고, 전시과제도에 따라 일한만큼 토지를 받았다.


=> 문벌귀족에게 취중되는 권력으로 사회모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 이후로, 1) 이자겸의 난과  2)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발생함.



 1)이자겸의 난

 2)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 묘청이 풍수지리설을 들며 기운이 좋은 서경으로 수도를 옮겨야한다고 주장을 함. 이 당시에 금이 고려를 압박하던 시기였는데 묘청은 고구려 계승을 이어받은 우리는 금을 정벌해야한다고 주장함.

    그러나, 김부식·이자겸과 같은 문벌귀족(기득권세력)들은 금과 사대관계를 주장하며 그냥 수도를 옮기지 말자고 함. 결과적으로 수도를 옮기지 않았음.

   *신채호는 <조선사연구초>에서 이 사건을 조선역사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으로 규정함.


 3) 이렇게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문신들이 무신들의 뺨을 때리고 조롱하는 사건까지 겹쳐서 무신정변이 일어나게 됨.




2. 무신정변 시작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최우 순으로 집권함.


 (1)회의기구: 중방

 (2)권력기구:교정도감

 (3)인사권을 쥐고 있는 곳: 정방

 (4)문신들을 등용하던 곳:서방(여기서 향리들이 많이 등용되었음. 이들이 여기서부터 성장하고, 공민왕때 더 많이 발탁되어 신진사대부로 성장하여 조선을 건국하게 됨)

 (5)사병집단: 도방, 야별초->삼별초로 성장. 


*무신들의 비리와 수취에 반발하여 일어난 난들: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김사미, 효심의 난

*최초의 신분해방 운동: 만적의 난 "왕의 씨가 따로 있으랴!!"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