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조선은 임진왜란(1592)를 기점으로 전기/후기로 나뉨
*초기 조선을 건국한 신진사대부도 급진파(정도전)와 온건파(정몽주)로 나뉨.
*급진파는 조선을 건국해 중앙을 집권함
*온건파는 지방으로 낙향하여 향촌자치를 시작함.
=>지방에 유향소를 설치하여 여론을 형성하고, 서원을 세워 인재를 기르고, 향약을 만들어 농민을 통제했음.
1. 정도전(태조)
1) <조선경국전>, <불씨잡변:부처의씨가 잡소리란 뜻>을 만듬.
2. 태종(이방원) -여러 명을 죽이고 왕위에 앉은 인물(고려의 광종과 비슷)
1) 왕권강화를 위해 6조직계제 실시(의정부의 힘 약화)
2) 사병철폐, 호패법(=주민증):중앙에서 지방민 통제가능, 양전사업(토지조사사업)실시.
※왕 ↔ 의정부 ↔ 6조
-> 의정부 서사제라고 함. 왕에서 의정부를 거치고 6조까지 거치면 왕권이 약화됨
※왕 ↔ 6조
-> 6조 직계제라고 함.여기서 왕에서 의정부를 건너뛰고 바로 6조로 감-> 왕권강화 가능
3. 세종
1) 의정부서사제 실시
2) 집현전 설치(학문 연구)
3) 쓰시마섬 토벌, 여진견제 위해 4군6진 설치
※주절주절: 세종에겐 두 아들이 있었음. 첫 째 문종과 둘 째 수양대군. 두 형제의 우애는 남 달랐음. 그러나 문종이 젊은 나이에 죽게 되자 문종의 아들인 단종은 홀로 남게 되는데 동생인 수양대군에게 잘 부탁한다고 했음. 그러나.. 왕이 되고 싶었던 수양대군은 조카 단종을 죽이고 왕권에 오르게 됨..
4. 세조(수양대군-자신의 조카인 단종을 죽이고 왕위에 앉음)
1) 왕권강화위해 6조 직계제 실시
2) 집현전 없앰, 경연도 없앰
3) 조선의 법을 다룬 <경국대전> 만들기 시작
※세조의 왕위찬탈 과정을 도운 세력들은 '훈구'였음. 이 훈구들은 세조와 함께 정치권력을 장악하게 됨.
5. 성종
1) <경국대전> 완성
2) 홍문관(경,서연) 설치
6. 성종은 훈구세력 견제를 위해 지방에서 향촌 자치를 하던 온건파들을 중앙관직으로 불러옴.
7. 온건파들은 과거제를 통해서 3사(언론 기능)가 되어 중앙관직으로 올라오기 시작함.
8. 훈구의 비리를 캐고 공격을 시작함.
9. 이 때문에 사화가 발생함 ( 사화란? 사림이 화를 입다라는 뜻. 여기서 사림이란 선비무리 즉, 사림을 뜻함)
10. 무오사화(연산군때), 갑자사화(연산군때), 기묘사화(중종때), 을사사화(명종때)가 있음
*가장 중요한건 기묘사화!
: 기묘사화란 중종이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권을 잡았을 당시에 조광조라는 참신한 인재를 매우 예뻐 했 음. 조광조는 국정운영에 많은 도움을 줬음. 당시 조광조는 몇가지 개혁안을 제시했었음.
<조광조 개혁>
① 위훈(거짓된 훈장)삭제: 중종반정당시, 은근슬쩍 아무것도 하지 않고 관직에 무임승차한 훈구들은 관직에서 제외해야한다 -> 훈구들의 엄청난 반발을 불러옴
② 현량과 설치 : 현명하고 능력있는 선비들을 추천해서 등용합시다
③ 소격서(하늘에 제사지내는 것)폐지: 유학자입장으로써 제사는 옳지 않다.
ㅡ>그러나, 조광조를 모함하는 세력들이 조광조가 왕권을 노린다라는 소문을 퍼트려 중종에게 이간질을 시킴.. 이에 흔들린 중종은 결국 조광조를 유배시킴..
11. 급진파의 정권시대(15세기)는 물러가고, 온건파들이 정권을 잡기 시작하는 때(16세기)가 옴.. 온건파는 이제 사림파로 불리게 됨
12. 사림파는 붕당정치를 시작하게 됨. 그동안의 척신 잔재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이조전랑(인사권)문제로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게 됨.
'한국사능력검정 핵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핵심정리- (10) 개항기(흥선대원군) (0) | 2018.06.10 |
---|---|
한국사 핵심정리- (6) 고려(외교)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5) 고려(중기정치~무신정변)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4) 고려(초기 정치) (0) | 2018.06.10 |
한국사 핵심정리- (3) 남북극 시대(통일신라/발해) (0) | 2018.06.10 |